맨위로가기

교황 비오 3세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교황 비오 3세는 1503년 짧은 기간 재위한 교황이다. 본명은 프란체스코 토데스키니 피콜로미니로, 시에나에서 태어나 페루자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했다. 삼촌인 교황 비오 2세의 후원을 받아 시에나 대주교, 추기경 등을 역임하며 교황청에서 활동했다. 1503년 교황으로 선출되었으나, 재위 26일 만에 다리 궤양으로 사망했다. 그는 르네상스 인문주의를 장려하고 시에나 대성당에 도서관을 건립하는 등 문화 예술에도 관심을 기울였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 피콜로미니가 - 교황 비오 2세
    교황 비오 2세는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의 이름으로 1458년부터 1464년까지 재임한 210대 교황으로, 오스만 제국에 대항하는 십자군 원정을 추진하고 학자 및 작가로 활동했으며, 코르시냐노를 피엔차로 재개발하여 도시 계획을 시행했다.
  • 피콜로미니가 - 말피의 공작부인
    말피의 공작부인은 존 웹스터가 1612-1614년경에 쓴 자코비안 시대 비극 희곡으로, 과부인 공작부인이 오빠들의 반대 속에 궁궐 집사와 비밀 결혼하면서 벌어지는 비극적인 사건과 권력 남용, 여성의 지위 등을 다룬다.
  • 1439년 출생 - 아시카가 요시미
    아시카가 요시미는 6대 쇼군의 아들로 태어나 승려가 되었다가 환속하여 쇼군의 후계자가 되었고, 오닌의 난 이후 아들이 쇼군이 되자 정무를 보다가 사망했다.
  • 1439년 출생 - 류자광
    류자광은 조선 시대 무신이자 문신으로, 이시애의 난 진압에 기여하고 중종반정에 참여하여 공신이 되었으나, 남이의 옥사 조작과 사화 연루로 비판받고 유배된 인물이다.
  • 1503년 사망 - 이극돈
    이극돈은 조선 초 훈구파 문신으로, 세조와 성종 대에 이조판서, 병조판서 등을 역임하며 《세조실록》 편찬, 《경국대전》 간행 등 국가 사업에 참여했으나, 무오사화에 연루되어 사림파로부터 비판받았다.
  • 1503년 사망 - 잉글랜드 왕녀 요크의 엘리자베스
    잉글랜드 왕 에드워드 4세의 장녀인 요크의 엘리자베스는 헨리 7세와의 결혼으로 튜더 왕조를 공고히 하고 요크 왕가와 랭커스터 왕가의 결합을 상징하며 왕비로서 예술과 문화를 후원하고 자녀 교육에 힘썼다.
교황 비오 3세 - [인물]에 관한 문서
기본 정보
이름비오 3세
직함로마 주교
비오 3세
본명(프란체스코 토데스키니 피콜로미니)
출생일1439년 5월 9일
출생지시에나 공화국 사르테아노
사망일1503년 10월 18일
사망지교황령 로마
매장지성 베드로 대성당, 이후 산트안드레아델라발레 성당로 이장
비오Pius (피우스)
재임 기간
재임 시작1503년 9월 22일
재임 종료1503년 10월 18일
선임자알렉산데르 6세
후임자율리오 2세
서임
서품1503년 9월 30일
서임자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축성1503년 10월 1일
축성자줄리아노 델라 로베레
추기경
임명일1460년 3월 5일
임명자비오 2세
이전 직책
이전 직책산 에우스타키오의 추기경 (1460–1503)
시에나 행정관 (1460–1503)
시에나 대주교 (1460–1503)
브라반트 수석 사제 (1462–1503)
로마 및 교황령 특사 (1464)
추기경 단장 (1471–1503)
페르모 행정관 (1485–1494)
페루자 특사 (1488–1489)
잉글랜드 추기경 보호자 (1492–1503)
독일 추기경 보호자 (1492–1503)
프랑스 특사 (1493–1495)
피엔차 및 몬탈치노 행정관 (1495–1498)
페르모 행정관 (1496–1503)
교회 정보
소속 교회가톨릭 교회

2. 생애

프란체스코 토데스키니 피콜로미니는 1439년 5월 9일 시에나에서 태어났다. 아버지는 난노 토데스키니, 어머니는 라오다미아 피콜로미니로, 훗날 교황 비오 2세가 되는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의 누이였다.[57] 어린 시절 삼촌 에네아 실비오의 집안에 들어가 외가인 피콜로미니라는 이름과 문장을 사용했다. 페루자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460년 교황 비오 2세에 의해 시에나 교구의 대주교가 되었다. 같은 해 3월 5일에는 산 에우스타치오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58]

피콜로미니 추기경은 교황 특사로 신성 로마 제국의 레겐스부르크 회의, 움브리아 등지에 파견되었다.[59] 1484년 교황 인노첸시오 8세와 1492년 교황 알렉산데르 6세를 선출한 콘클라베에 참석했고, 1497년에는 교황청 개혁에도 참여하였다. 그는 삼촌 비오 2세의 서적들을 소장하기 위해 시에나 대성당에 도서관을 세우고, 핀투리키오에게 도서관 통로 천장에 프레스코화를 그리게 했다.

1503년 9월 22일, 교황 알렉산데르 6세 선종 후 혼란스러운 상황에서 피콜로미니 추기경이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삼촌의 이름을 따서 비오 3세로 명명되었다.[60] 이는 당시 대립하던 보르자파와 델라 로베레파 간의 타협 결과였다.

비오 3세는 1503년 10월 8일에 즉위식을 가졌으나, 건강이 좋지 않아 일부 예식은 생략되었다. 그는 교회 쇄신과 재정 개혁을 목표로 삼았고, 체사레 보르자의 곤팔로니에레 직함을 재승인하였다. 그러나 즉위 26일 만인 1503년 10월 18일 통풍으로 선종하였다.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을 거쳐 산탄드레아 델라 발레 성당에 교황 비오 2세와 함께 안장되었다.

2. 1. 초기 생애

프란체스코 토데스키니 피콜로미니는 피콜로미니 가문 출신으로 1439년 5월 9일[4] 사르테아노에서[3] 나노 토데스키니[5]교황 비오 2세가 된 에네아 실비오 바르톨로메오(아이네아스 실비우스) 피콜로미니의 누이인 라우도미아 피콜로미니의 넷째 아들로 태어났다. 그는 안토니오, 자코모, 안드레아 세 명의 형제가 있었다. 그의 맏형 안토니오는 비오 2세 재위 기간에 아말피 공작이 되었다. 그는 나폴리의 페르디난도 1세의 딸 마리아와 결혼했다.[6]

소년 시절 프란체스코는 아이네아스 실비우스의 집에 들어가 피콜로미니 가문의 이름과 문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허락받았다. 그는 페루자 대학교에서 교회법을 공부했고, 학업을 마친 후 박사 학위를 받았다.[7] 1460년 교황 비오 2세에 의해 시에나 교구의 대주교로 수품되었다.[58]

2. 2. 추기경 시절

1439년 5월 9일 시에나에서 난노 토데스키니(Nanno Todeschini)와 라오다미아 피콜로미니(Laodamia Piccolomini)의 아들로 태어났다. 그의 어머니 라오다미아는 훗날 교황 비오 2세가 되는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의 누이이다.[57] 프란체스코는 외가인 피콜로미니라는 이름과 피콜로미니 가문의 문장을 사용하는 것이 허용되었는데, 어렸을 때 삼촌인 에네아 실비오의 집안에 들어가게 된 것으로 보인다. 그는 페루자 대학교에서 법학을 공부하여 박사 학위를 받았으며, 1460년 교황 비오 2세에 의해 시에나 교구의 대주교로 수품되었다. 같은 해 3월 5일에는 산 에우스타치오 성당의 부제급 추기경에 서임되었다.[58] 몇 달 후, 비오 2세는 피콜로미니 추기경에게 마르시코의 주교를 조언자로 붙여주고 안코나에 교황 특사로 파견하였다. 프란체스코는 학구적이고 능력이 뛰어난 인물임을 증명해 보였다.

피콜로미니 추기경은 1464년 교황 바오로 2세가 선출된 콘클라베에는 참석하였지만, 1471년 교황 식스토 4세가 선출된 콘클라베에는 불참하였다. 그는 교황의 사절로서 다른 나라로 종종 파견되곤 하였다. 바오로 2세 때에는 신성 로마 제국의 레겐스부르크 회의에 파견되었으며, 식스토 4세 때에는 움브리아에서 교회의 권위가 회복됨에 따라 그곳에 파견되었다.[59] 피콜로미니 추기경은 1484년 교황 인노첸시오 8세가 선출된 콘클라베와 1492년 교황 알렉산데르 6세가 선출된 콘클라베에 참석하였다.

피콜로미니 추기경은 자신의 삼촌 비오 2세가 소싯적에 집필한 각종 인본주의 서적들을 소장할 목적으로 시에나 대성당으로 들어가는 입구에 도서관을 하나 세웠다. 그리고 화가 핀투리키오를 고용하여 도서관으로 통하는 통로의 천장에 프레스코화로 장식하였다.

1457년[8] 토데스키니-피콜로미니는 자신의 삼촌이 소유했던 자르텐 성당 (후일 자르텐 대성당)의 칼리지에이트 교회의 지위인 서임권을 받았다. 프란체스코는 1457년부터 1466년까지, 그리고 1476년부터 1495년까지 이 서임권을 소유했다.[9]

1458년 8월 19일에 추기경 에네아 실비오 피콜로미니는 교황 비오 2세로 선출되었다. 발표 후 흥분한 소동 속에서 로마 시민들은 그의 집을 약탈했다.[10] 따라서 피콜로미니 가문이 로마에 도착했을 때 그들 소유의 궁전이 없었다. 프란체스코는 삼촌과 함께 바티칸 궁전으로 이사했다.[10] 1461년에 교황은 추기경 프란체스코가 로마 캄포 데 피오리 근처에 있는, 최근 사망한 추기경 조반니 카스틸리오네 소유의 재산을 구매하도록 허락했다. 이 땅에 추기경 프란체스코는 교황의 도움을 받아 피콜로미니 궁전을 지었다. 1476년에 추기경 프란체스코는 궁전을 그의 형제 자코모와 안드레아, 그리고 그들의 후손들에게 양도했다. 팔라초 피콜로미니는 더 이상 남아 있지 않으며, 1591년에 시작된 새로운 산탄드레아 델라 발레 성당을 건설하기 위해 철거되었다.[12]

1460년에 피콜로미니는 시에나 대교구의 관리자로 임명되었으며, 이미 교황청 원장의 직위를 가지고 있었다.[13][14][15] 그는 대주교의 칭호와 휘장을 받았지만 교황으로 즉위하기 일주일 전까지 주교 서품을 받지 못했다. 시에나에서의 주교 업무는 보조 주교인 안토니오 파타티가 수행했다.[16]

당시 시에나를 방문 중이던 교황 비오 2세는 1460년 3월 5일에 조카를 추기경으로 임명하고, 3월 26일에 산테우스타키오의 추기경 부제로 임명했다.[17] 그는 또한 산 비질리오 수도원의 위임 수도원장으로 임명되었으며,[18] 평생 사용했던 교회 옆의 거주지를 재건하고 확장했다.[19]

1460년에 교황은 그를 안코나 변경백국의 사절로 임명했고, 경험 많은 마르시코 주교가 그의 조언자가 되었다. 그는 4월 30일에 로마를 떠나, 상담을 위해 1461년 2월 1일에 돌아왔고; 1461년 6월 1일에 다시 안코나로 돌아갔고, 11월 8일에 로마로 돌아왔다.[20]

피콜로미니는 1462년에 캄브라이에서 브라반트의 대교구장이 되었으며, 1503년까지 그 서임을 유지했다.[21] 1463년 3월 26일, 교황 비오 2세는 추기경 프란체스코에게 아벤티노 언덕에 있는 산 사바 수도원을 ''위임''으로 부여했다. 추기경은 즉시 고대 건물에 대한 광범위한 복원, 건설 및 장식 작업을 시작하여 그 작업에 최소 3000ducat를 소비했다.[22]

1464년 6월 21일 피콜로미니는 비오 2세가 베네치아인들을 만나 발칸에서 십자군을 시작하기 위해 로마를 떠나 안코나로 향했을 때, 로마와 나머지 교황령의 대리로 임명되었다. 그러나 비오 2세는 1464년 8월 14일 안코나에서 사망하여 그 프로젝트를 종료했다.[23]

프란체스코 토데스키니 피콜로미니는 1464년 교황 선거에서 교황 바오로 2세를 선출하는 데 참여했다. 선종한 교황의 조카로서 그는 선거 정치에 상당한 영향력을 행사했을 것이다. 그러나 참가한 20명의 추기경 중 비오 2세가 임명하지 않은 12명은 자신들 중 한 명을 제외하고는 누구도 선출하지 않기로 합의했다. 이로 인해 프란체스코 피콜로미니와 그의 삼촌이 임명한 모든 추기경들이 배제되었다. 실제로 첫 투표가 진행 중이던 중 베네치아의 피에트로 바르보 추기경이 필요한 3분의 2의 표를 얻었고, 투표는 곧 만장일치로 이루어졌다. 그는 바오로 2세 (1464–1471)라는 이름을 선택했다.[24]

1471년 2월 20일 피콜로미니 추기경은 독일에서 ''라테레 특사''로 임명되었다.[25] 그는 비오 2세의 전 비서였던 아고스티노 파트리지 피콜로미니를 비서로 동반했는데, 그는 이 임무에 대한 기록을 남겼다. 그는 3월 18일에 출발하여,[27] 레겐스부르크 제국 의회에서 이 중요한 사절로 활동했고,[28] 1471년 7월 26일 교황이 선종했을 때도 그곳에 있었다. 결과적으로 그는 교황 식스토 4세를 선출하는 1471년 교황 선거에 불참했다. 그는 1471년 12월 27일에 로마로 돌아왔다.[29]

그는 1471년, 로드리고 보르자 추기경이 1471년 8월 30일에 로마 교외 알바노 교구로 승진하면서 수석 부제 추기경 직을 계승했다.

프란체스코는 교황 식스토 4세를 위한 새로운 사절로 움브리아에서 교회 권위를 회복하는 데 기여했다.[30]

2. 3. 교황 선출

알렉산데르 6세가 선종하면서 극도의 혼란이 찾아왔다. 체사레 보르자는 휘하의 사병들을 동원하여 후임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를 장악하여 자신의 뜻대로 이끌려고 시도하였다. 그러자 모든 로마 주재 외국 대사들이 콘클라베가 외부의 어떠한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진행되도록 하자는데 의견을 모으고 체사레 보르자에게 압력을 행사하여 그를 로마에서 물러나게끔 만들었다.[60] 1503년 9월 22일 피콜로미니 추기경이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다. 그는 자신의 교황으로서의 이름을 삼촌 비오 2세를 계승하여 비오 3세라고 명명하였다.[43] 보르자 가문과 델라 로베레 가문 중 어느 쪽에도 속해 있지 않으면서 교황청 안에서 연륜이 있고 유순했던 피콜로미니 추기경이 선정된 것으로 볼 때, 당시 서로 대립하던 보르자파와 델라 로베레파 간의 타협이 이루어졌음을 미루어 짐작할 수 있다.

2. 4. 교황 재위와 죽음

알렉산데르 6세가 선종하면서 혼란이 극심해지자, 체사레 보르자는 사병들을 동원하여 후임 교황을 선출하는 콘클라베를 장악하려 했다. 그러나 로마 주재 외국 대사들은 콘클라베가 외부 간섭 없이 독립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의견을 모으고 체사레 보르자를 압박하여 로마에서 물러나게 했다. 그 결과 1503년 9월 22일 피콜로미니 추기경이 새 교황으로 선출되었고, 그는 삼촌 비오 2세를 계승하여 비오 3세로 명명되었다.[60] 보르자 가문과 델라 로베레 가문 중 어느 쪽에도 속하지 않고 교황청 내에서 연륜이 있고 유순했던 피콜로미니 추기경이 선정된 것은, 당시 대립하던 보르자파와 델라 로베레파 간의 타협의 결과로 추측된다.

비오 3세의 교황 즉위식은 1503년 10월 8일에 거행되었으나, 건강이 좋지 않아 몇몇 예식은 생략되었다. 그는 추기경 시노드 설치를 통한 교회의 즉각적인 쇄신, 교회 경비와 재정에 대한 엄격한 개혁 등을 목표로 삼았다. 체사레 보르자를 동정하여 그의 곤팔로니에레 직함을 재승인하였으나, 10월 13일 통풍으로 자리에 누워 즉위 26일 만인 1503년 10월 18일 선종하였다.

그의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 안 성 안드레아 경당에 그의 삼촌 비오 2세와 형제들 곁에 안장되었다. 대성전 재공사 때, 비오 3세의 무덤은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 묘소로 옮겨졌으며, 그의 유해는 1614년 산탄드레아 델라 발레 성당의 무덤에 비오 2세와 함께 이장되었다.

3. 평가 및 유산

프란체스코 피콜로미니 추기경(훗날 교황 비오 3세)은 삼촌 교황 비오 2세가 소장했던 인본주의 서적들을 보관하기 위해 시에나 대성당 입구에 도서관을 세웠다. 그는 화가 핀투리키오에게 도서관 통로 천장에 프레스코화를 그리게 하고, 벽면에는 비오 2세의 생애를 묘사한 그림들을 배치했다.[59] 이 그림들은 비오 2세의 생애를 각색하여 보여주며, 그가 이전에 대립 교황 아메데우스 8세를 지지했다는 사실은 언급하지 않았다. 핀투리키오가 5년 동안 작업했지만, 책들은 이 도서관에 보관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피콜로미니 도서관은 시에나의 성기 르네상스 시대의 기념비적인 건축물이다. 교황 비오 3세의 초상화 중 일부는 루브르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그의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 안 성 안드레아 경당에 삼촌 비오 2세와 형제들 곁에 안장되었다. 대성전 재공사 때, 비오 3세의 무덤은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 묘소로 옮겨졌으며, 1614년 산탄드레아 델라 발레 성당의 무덤에 비오 2세와 함께 이장되었다.

3. 1. 기타

교황 비오 3세의 무덤


프란체스코 피콜로미니 추기경(훗날 교황 비오 3세)은 삼촌 교황 비오 2세가 소장했던 인본주의 서적들을 보관하기 위해 시에나 대성당 입구에 도서관을 세웠다. 그는 화가 핀투리키오에게 도서관 통로 천장에 프레스코화를 그리게 하고, 벽면에는 비오 2세의 생애를 묘사한 그림들을 배치했다.[59] 이 그림들은 비오 2세의 생애를 각색하여 보여주며, 그가 이전에 대립 교황 아메데우스 8세를 지지했다는 사실은 언급하지 않는다. 핀투리키오가 5년 동안 작업했지만, 책들은 이 도서관에 보관되지 못했다. 그럼에도 피콜로미니 도서관은 시에나의 성기 르네상스 시대의 기념비적인 건축물이다. 교황 비오 3세의 초상화 중 일부는 루브르 박물관에서 볼 수 있다.

그의 시신은 성 베드로 대성전 안 성 안드레아 경당에 삼촌 비오 2세와 형제들 곁에 안장되었다. 대성전 재공사 때, 비오 3세의 무덤은 성 베드로 대성전 지하 묘소로 옮겨졌으며, 1614년 산탄드레아 델라 발레 성당의 무덤에 비오 2세와 함께 이장되었다.

참조

[1] 서적 Vitae et res gestae pontificum romanorum: et S.R.E. cardinalium ab initio nascentis ecclesiae usque ad Clementem IX P. O. M. https://books.google[...] P. et A. De Rubeis (Rossi)
[2] 문서 Hendrix
[3] 간행물 Memorie Piccolominee in Sarteano
[4] 서적 Historia B. Platinae de vitis pontificum Romanorum, a D.N. Jesu Christo usque ad Paulum II. venetum ... https://books.google[...] Maternus Cholinus
[null] 서적 The lives and times of the popes https://books.google[...] Catholic Publication Society of America
[null] 간행물 Pio III, papa http://www.treccani.[...]
[5] 간행물 Gli antenati di Pio III
[6] 문서 Munman
[null] 서적 Elementi della storia dei Sommi Pontefici F. Rossi
[7] 문서 The housing opportunities of a Renaissance cardinal
[8] 간행물 Pio III, papa http://www.treccani.[...]
[9] 서적 Modus supplicandi: Zwischen herrschaftlicher Gnade und importunitas petentium https://books.google[...] Böhlau Verlag
[10] 문서 The housing opportunities of a Renaissance cardinal
[11] 문서 The housing opportunities of a Renaissance cardinal
[12] 문서 The housing opportunities of a Renaissance cardinal
[13] 간행물 Pio III, papa http://www.treccani.[...]
[14] 문서 Pius II had raised the diocese of Siena to the status of an archbishopric in 1459.
[15] 문서 The Lost Will and Testament of Cardinal Francesco Todeschini Piccolomini (1439–1503)
[16] 문서 Elementi
[17] 문서 Eubel II, p. 13, no. 5, with note 6.
[18] 간행물 Pio III, papa http://www.treccani.[...]
[19] 문서
[20] 문서 Eubel II
[21] 서적 Bullaire de la province de Reims sous le pontificat de Pie II https://books.google[...] R. Giard
[null] 문서
[22] 문서 The housing opportunities of a Renaissance cardinal https://www.jstor.or[...]
[23] 문서 Eubel II
[24] 서적 Histoire diplomatique des conclaves Paris
[null] 문서 History of the Popes
[null] 문서 History of the Popes
[25] 간행물 'Legatus a latere': Addenda varia https://www.jstor.or[...]
[null] 간행물 Kõln und das Reich, II Theil, 1452–1474
[null] 간행물 Agostino Patrizzis Beschreibung der Reise des Kardinallegaten Francesco Piccolomini zum Christentag in Regensburg 1471
[null] 서적 Habemus papam : le elezioni pontificie da S. Pietro a Benedetto https://books.google[...] De Luca
[27] 문서 Eubel II
[28] 간행물 Fifteenth-century Tests on the Ceremonial of the papal 'Legatus a latere' https://www.jstor.or[...]
[29] 문서 Eubel II
[30] 백과사전 The Encyclopædia Britannica Henry G. Allen Company
[31] 서적 Diario della città di Roma di Stefano Infessura scribasenato https://books.google[...] Forzani
[32] 문서 Eubel II
[33] 서적 Del conclave di Alessandro VI, papa Borgia https://books.google[...] Olschki
[34] 문서
[35] 간행물 Eubel II https://gallica.bnf.[...]
[36] 서적 History of the City of Rome in the Middle Ages https://books.google[...] G. Bell & sons
[37] 문서 Eubel II
[38] 서적 A History of the Papacy During the Period of the Reformation https://books.google[...] Houghton, Mifflin & Company
[39] 문서 Eubel II, Pastor VI
[40] 문서 Eubel II
[41] 문서 Gregorovius VIII
[42] 문서 Eubel II
[43] 웹사이트 Pope Pius III. http://www.newadvent[...] Robert Appleton Company 2020-01-31
[44] 문서 Pastor VI
[45] 문서 Pastor VI
[46] 문서 Pastor VI
[47] 서적 Capelle pontificie sacrorum rituum magistri diarium: sive Rerum urbanarum commentarii (1483-1506). https://books.google[...] E. Leroux
[47] 서적 Le storie de' suoi tempi dal 1475 al 1510 https://books.google[...] G. Barbera
[48] 문서 Burchard
[49] 문서 Burchard
[50] 서적 I diarii di Marino Sanuto: (MCCCCXCVI-MDXXXIII) https://books.google[...] F. Visentini
[51] 문서 Pastor VI, Giovanni Burchard
[52] 문서 Pastor VI
[53] 문서 Pastor VI
[54] 서적 Historia B. Platinae de vitis pontificum Romanorum https://books.google[...]
[54] 서적 Dell'Historia Di Siena https://books.google[...] Per Salvestro Marchetti
[54] 서적 Elementi della storia de' sommi pontefici da S. Pietro sino al felicemente regnante Pio Papa VII ... https://books.google[...] Rossi
[55] 문서
[56] 웹사이트 Todeschini-Piccolomini, Francesco (1439-1503) http://webdept.fiu.e[...] Cardinals of the Holy Roman Church 2015-02-21
[57] 서적 Sienese Renaissance tomb monuments DIANE Publishing Co.
[58] 서적 Papal Genealogy: The Families And Descendants Of The Popes McFarland & Company Inc.
[59] 서적 The Encyclopaedia Britannica Henry G. Allen Company
[60] 웹사이트 Catholic Encyclopedia http://www.newadvent[...] 2011-10-08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